필수 생활정보 / / 2022. 10. 11. 11:00

주휴수당 지급기준

반응형

주휴수당이란 1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모두 채운 근로자에게 유급 주휴일을 주는 것을 말하는데요, 그렇다면 2022년 주휴수당 지급기준은 과연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주휴수당 지급기준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1. 1주일 근로시간 15시간 이상

주휴수당의 지급기준 첫 번째는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15시간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주휴수당 수급자격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2. 1주일간 결근 없이 근로

주휴수당 지급기준 두 번째는 근로계약서상 기재된 소정근로일에 모두 개근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계약된 날짜에 결근을 하여 근무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주휴수당 수급자격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다음 내용에서 다시 다루겠습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에서 제외되는 경우

1. 결근

일한 주에 하루 이상 결근을 했다면 주휴수당에서 그 주는 제외되는 것입니다. 

 

2. 근로기간 일주일 미만

기존 근로기간이 일주일이 채 되지 않은 단기근로자의 경우에는 주휴수당을 지급하는 유급휴일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3. 4주간 평균 주 15시간 미만 근무

4주간 근로시간을 평균으로 환산했을때 주 15시간 미만의 시간을 근무했을 경우에도 주휴수당 수급대상에서 제외됩니다.

 

4. 사전 노사간 합의한 경우

사전에 시급에 대해 노사간 주휴수당을 포함한 시급으로 합의했을 경우에는 주휴수당을 추가로 지급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1주 40시간 미만 근무했을 경우에는 (1주 총 근로시간 / 40시간) * 8시간 * 시급

1주 40시간 이상 근무했을 경우에는 (8시간 * 시급)

 

이때 상시 근로자 수 상관없이 모두에게 적용되며, 1일 최대 8시간(법정근로시간)의 시급까지 지급이 가능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한 내용은 다음에 다신 한 번 상세히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