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 생활정보 / / 2020. 11. 4. 08:34

부모님댁에서 세대분리시 비과세

반응형

질문자의 상황

저는 결혼 후, 2주택 소유주이신 부모님집에 주소를 그대로 둔 상태로

2019년 03월 제 명의로 일반분양을 받은 A주택에 등기를 완료후 입주하였습니다

(와이프와 아이들만 전입)

또한 2018년 06월 B주택을 와이프명의로 일반분양계약 후 22년 03월에 입주 예정입니다.

* A주택 19년 3월 비조정지역에서 등기완료 (20년02월 조정지역)

B주택 비조정지역에서 분양받았으나 20년6월 투과지역으로 지정. 즉 입주시 투과지역

2주택 소유중이신 부모님 댁에 전입이 그대로 있으니 동일세대로 볼 경우 2주택 적용에

본인 명의로 분양받은 아파트까지 하면 3주택자로 보일 수 있는 상광이군요.

질문

윤**

B주택 등기 전에 2년 보유기간을 충족한 A주택에 전입하여

양도시점기준 1가구 1주택 비과세로 매도할 계획이었으나,

내년에 바뀌는 소득세법에 2년 보유기간이 실제 1주택으로 된 후로부터 기산한다는데

저와 같은 경우는 비과세 혜택이 사라지는 건지 문의드립니다.

- 요약하자면 1가구 3주택 (부모님집 2주택 + 본인 1주택) 에서

매도직전 세대분리 후 본인명의 집을 처분했을시 비과세 여부가 궁금합니다.

역시 3주택자로 세무당국에서 바라보는지 여부를 질문하시네요.

결혼하면서 바로 전입을 빼지 않았거나

모시고 사는 부모님께서 말씀안하셨던 주택을 갖고 있는걸 알았을 때

적잖이 당황스러울 수 있겠쥬?

전문가 답변

출처 : 한국세무사회

개정 소득령 제154조 제5항은 일시적 2주택인 경우를 제외하고 있으며,

양도소득세의 경우

실제로 부모님과 경제적으로 독립된 별도의 세대를 구성하지만

전입신고상 상이한 내역은 소명을 통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입내역이 상이한 사유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소명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본 상담은 상담세무사의 개인적인 견해로 국세청 해석과 의견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가까운 세무사사무실을 찾아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