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고등학생 농구 수업 지도안 & 효과 분석
📌 12차시 농구 수업 지도안 (각 차시 50분)
차시 수업 주제 목표 활동 내용 준비물
1차시 | 오리엔테이션 및 준비운동 | 안전 교육, 체력 점검 | 동적 준비운동, 레이업 라인 | 농구공, 콘 |
2차시 | 드리블 기초 | 방향 전환, 양손 컨트롤 | 지그재그, 콘 돌기, 크로스오버 | 농구공, 콘 |
3차시 | 패스와 캐치 | 다양한 패스 형태 습득 | 짝 패스, 이동 패스, 릴레이 | 농구공 |
4차시 | 슈팅 기초 | B.E.E.F 슛 폼 습득 | 폼 슈팅, 점프슛 교정 | 농구공 |
5차시 | 수비 자세 | 스탠스, 측면 이동 | 클로즈아웃, 미러 드릴 | 콘 |
6차시 | 공격 움직임 | 공간 창출, 컷팅 | 3인 위브, V컷 | 농구공 |
7차시 | 리바운드 | 박스아웃, 타이밍 | 박스아웃 대결, 리바운드 태그 | 농구공 |
8차시 | 속공 전환 | 전환 판단력 강화 | 3:2, 2:1 훈련 | 농구공, 팀조끼 |
9차시 | 팀 공격 | 기본 전술, 픽앤롤 | 5:0 전술 패턴 훈련 | 작전판 |
10차시 | 팀 수비 | 맨투맨 vs 존 | 2-3 존 수비, 셸 드릴 | 콘 |
11차시 | 스크리미지 | 경기 적용 | 5:5 게임, 피드백 포함 | 휘슬, 팀조끼 |
12차시 | 종합 평가 | 실기 테스트, 피드백 | 슛 콘테스트, 동료 평가 | 점수표 |
🔍 기술 중심 수업 vs 경기 중심 수업 비교 분석
학생들에게 어떤 방식이 더 건강, 흥미, 동기 부여에 효과적일까?
해외 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경기 중심 수업이 흥미 유발, 건강 증진, 전술적 사고력 향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습니다.
🎯 흥미와 동기 부여 측면
- 전술 게임 중심(Tactical Games Model) 수업은 전통적 기술 훈련에 비해 학생의 내재적 동기와 즐거움을 크게 향상시킴
▶ Harvey et al. (2017): 논문 보기 - 실제 경기와 유사한 수업 상황은 자발적 참여를 촉진하고 학습 지속력을 높임
▶ Farias et al. (2021): 논문 PDF
💪 건강 및 활동량 측면 (MVPA 증가)
- 경기 중심 수업이 중강도-고강도 신체활동 증가에 기여
▶ Batez et al. (2021): 논문 보기 - 심박수 증가, 운동 지속 시간 향상 효과도 있음
▶ Yan et al. (2024): PDF 링크
🧠 기술 습득 및 전술 이해도
- 기술 훈련은 기본기 향상에 효과적이나, 실제 경기 적용력이 떨어질 수 있음
- 경기 중심 수업은 전술적 사고력과 게임 이해도에 탁월
▶ Ghanati & MohammadZadeh (2018): 논문 보기
✅ 결론: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일까?
항목 기술 훈련 중심 경기 중심 수업
흥미도 | 중간 이하 | 매우 높음 |
동기 부여 | 외재적 동기 | 내재적 동기 중심 |
건강 효과 | 제한적 | 운동량 ↑, 건강 ↑ |
기술 향상 | 반복 숙련 ↑ | 실제 적용 ↑ |
전술 이해 | 낮음 | 매우 높음 |
추천 방식: 기초 기술 연습 + 경기 중심 활동의 혼합형 수업
→ 초반 기술 훈련, 이후 실전 게임 활용 방식이 가장 효과적
📚 참고 논문 정리
- Harvey et al. (2017):
Tactical Games Model 적용 연구 - Farias et al. (2021):
Game-Based PE의 체계적 리뷰 - Batez et al. (2021):
게임 중심 수업과 건강효과 - Yan et al. (2024):
농구 게임 수업의 활동량 분석 - Ghanati & MohammadZadeh (2018):
게임 중심 훈련 vs 전통 훈련 비교
반응형